대중화된 인터넷기술이 보통 이더넷-TCP/IP 기반이어서, 기술이 점점 단순화되고 있지만 아직 용도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 요소들이 사용된다. 이번 장에서는 네트워크 연결방법을 구분하고 연결에 필요한 회선과 구성요소를 알아보자.

1. 네트워크 연결 구분

네트워크는 규모와 관리범위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 LAN (Local Area Network) : 사용자 내부 네트워크
  • MAN (Metro Area Network) : 한 도시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WAN (Wide Area Network) : 멀리 떨어진 LAN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예전에는 LAN, MAN, WAN 이 각각 사용하는 전송기술이나 프로토콜이 달라 그것을 기준으로 구분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기술이 이더넷으로 통합되면서 관리 범위 기준으로만 구분한다.

1.1 LAN

홈 네트워크용과 사무실용 네트워크처럼 소규모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현재는 대부분 이더넷 기반 전송기술을 사용한다.

1.2 MAN

MAN은 용어가 의미하는대로 수~수십 km 범위의 한 도시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단위의 네트워크를 구분할 때, 통신사가 이미 가지고 있는 인프라 기반으로 구축하면 WAN, 자체 인프라로 구축하면 MAN 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1.3 WAN

멀리 떨어진 LAN을 연결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직접 구축할 수 없는 범위의 네트워크이므로 대부분 통신사업자로부터 회선을 임대하여 사용한다. 현재는 LAN과 동일하게 이더넷이 주로 사용된다.

2. 네트워크 회선

2.1 인터넷 회선

인터넷접속을 위해 통신사업자와 연결하는 회선을 말한다. 인터넷 회선과 인터넷 전용 회선의 전송기술은 약간 차이가 있다. 가입자와 통신사업자 간에 직접연결되는 구조가 아니라, 전송 선로 공유 기술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 광랜은 내부 선로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여서 인터넷 전용 회선처럼 보이지만 아파트에서 통신 사업자까지 연결한 전용회선을 아파트 가입자가 공유하는 구조이다.

일반 인터넷 회선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광랜(이더넷) : 기가 ~ 100Mbps
  • FTTH : 기가 ~ 100Mbps
  • 동축 케이블 인터넷 : 수백 ~ 수십 Mbps
  • xDSL(ADSL, VDSL 등) : 수십 ~ 수 Mbps

위의 인터넷 접속 기술은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거나, 특정 구간부터 다른 사용자와 공유된다. 따라서 사용자 최대 속도를 보장해주지 않는다.

2.2 전용 회선

가입자와 통신사업자 간에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서비스를 전용 회선이라고 부른다. 가입자와 통신사업자 간에 전용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고 내부 TDM같은 기술로 직접 연결한 것처럼 통신 품질을 보장해준다.

전용회선을 가입자와 전송기술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이 두개로 구분할 수 있다.

  • 저속 : 음성 전송 기술 기반 64kbps 단위로 구분어 사용된다. 높은 신뢰성이 필요할 때 사용되어 왔지만 현재 이더넷 기반 광 전송기술이 신뢰할 정도의 수준으로 발전하면서 사용 빈도가 줄고 있다.
  • 고속 : 메트로 이더넷 대부분 광케이블 기반의 이더넷을 사용한다. 가입자와 통신사업자간의 접속은 이더넷을 사용하고 통신사업자 내부에서 개별 가입자를 묶어 통신할 수 있는 다른 고속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2.3 인터넷 전용 회선

인터넷 연결 회선에 대한 통신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상품을 인터넷 전용 회선이라고 한다. 가입자와 통신사업자가 연결되고 이 연결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기존에는 인터넷 전용 회선과 일반가정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확연히 달랐지만 최근 대부분 광 접속 기술 을 사용하므로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다.

2.4 VPN

Virtual Private Network 의 약자로 물리적으로는 전용선이 아니지만 가상으로 직접 연결한 것 같은 효과가 나도록 만들어주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1. 통신사업자 VPN
  2. 가입자 VPN

2.5 DWDM